닫기


어제, 즉 2025년 9월 6일 토요일 문경 구 쌍용양회 공장에서 문경시 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 주최하고 건축공간연구원 건축문화자산센터에서 주관한 ”산업유산의 재탄생: 문경 쌍용양회 공장의 가치와 미래 _ 경상북도 우수건축자산 등록을 위한 전문가포럼“이 열렸습니다.


70명이 넘는 인원이 참여한 이번 행사는 문경 구 쌍용양회의 가치를 이해하고 미래에 대해 함께 생각해 보기 위해 답사와 전문가 포럼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쌍용양회에서 40여년간 근무하신 김환국 선생님 의 안내로 공장 곳곳을 돌아보고, 여러 전문가 선생님들을 모시고 전문가 포럼을 가졌습니다.


전문가포럼에서는 이규철 연구위원님께서 건축자산제도에 대해 사례와 함께 설명해주셨고, 이후 저희 연구실에서 조사한 구 쌍용양회 공장의 특징과 가치에 대해 이야기 나누었습니다. 마지막으로 는 김광수 건축가께서 부천아트벙커39를 비롯흔 리노베이션 작업들을 소개해주시면서 오래된 건 물의 재생에 있어 연속성과 관계인구의 중요성에 대해 말씀해주셨습니다.


이후 쌍용양회 공장의 곳곳에서 40여년을 일하신 유성해, 이병각, 김환국 선생님의 말씀과 부탁이 있었습니다. 이번 행사의 백미 중 백미였습니다.    

이어지는 토론 자리애서는 김기수 국가유산 근현 대문화유산분과 위원장님께서 유산과 자산의 현실과 향후 방항에 대해, 고주환 새한TMC 대표님께서 실제 현장에서의 어려움과 개선 방향에 대해, 김유신 문경시 도시활력과 과장님께서 향후의 방향에 대해 말씀해주셨습니다. 플로어에서의 애정담긴 질문과 조언들도 넘쳐났습니다.


각지에서 오신 유산 전문가들, 연구자들, 건축가등, 아키비스트, 건축관련 전공 학생들, 인근 주변 주민들 등 덕분에 행사가 풍요롭게 채워졌습니다. 행사를 주관하고 주최해주신 건축문화자산센터, 그리고 문경시 도시재생지원센터 선생님들께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또한 먼길 마다하지 않고 달려와주신 발표자 토론자 선생님들, 후원해주신 도코모모코리아, 근대도시건축연구회에도 감사드립니다. 무엇보다 넘치는 열정으로 새벽부터 문경으로 달려오셔서 오랜 시간 함께 해 주신 모든 참석자들, 큰 수고해준 건축역사도시유산연구실원들 감사합니다.


단체사진은 1957년 문경 시멘트 공장 건축 당시 운크라 등 관련자들이 찍은 기념사진의 오마주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