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본 연구는 전후 한국에서 시멘트 생산의 역사적·기술적 맥락을 고찰하고, 재건 과정에서의 역할과 산업유산으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한다. 연구는 크게 세 가지로 구성된다. 첫째, 1950년대 재건기의 핵심 건축 재료였던 시멘트의 수급과 생산 과정을 분석한다. 해방 직후 건축 자재는 극도로 부족하였고, 한국전쟁은 이를 더욱 심화시켰다. 이에 따라 삼척 시멘트 공장의 복구와 문경 시멘트 공장의 설립은 UNKRA와 국제 협력 속에서 이루어졌으며, 미군정 기록, 유엔 문서, 정부 자료, 신문 기사 등을 통해 이를 추적한다.

둘째, 1950년대 시멘트의 특성과 활용을 살펴본다. 흙벽돌 중심에서 CMU 블록 활용으로 전환되면서 한국 건축은 새로운 국면을 맞았다. 이는 미군의 영향으로 기계와 기술이 민간에 확산되었고, 한국인 건축가들의 중개를 통해 전파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재건주택과 미군 막사 등 주요 건축 사례에서 확인되며, 동시기 대만과의 비교를 통해 건설문화의 특징을 다각적으로 분석한다.

셋째, 전후 복구의 상징이자 대표적인 기간산업 시설이었던 문경 시멘트 공장의 유산적 가치를 고찰한다. 이 공장은 덴마크 F.L. Smidth의 설계와 국내 건설업체의 협력으로 완공되어 2018년까지 가동되었다. 초기 습식 공정 설비와 설계도면, 시방서 등이 남아 있어 기술 이전의 과정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국제적 협업의 양상 또한 중요한 분석 대상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문헌·현장 조사를 통해 시멘트와 생산 시설의 역사적·기술사적 가치를 규명하고, 동아시아 전후 재건 맥락 속에서 산업유산으로서의 의미를 평가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historical and technological context of cement production in post-war Korea,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its role in reconstruction and its potential as industrial heritage. The analysis is threefold. First, it explores the supply and production of cement, a critical building material during the 1950s. Following liberation, construction resources were scarce, and the Korean War further aggravated shortages. Cement production resumed with the restoration of the Samcheok plant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Mungyeong Cement Factory, supported by UNKRA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Archival sources, including U.S. military government records, UN documents, government reports, and newspapers, are employed to trace this process.

Second, the study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s of cement in the 1950s. The introduction of CMU (Concrete Masonry Unit) blocks marked a transition from traditional adobe construction to modern methods. Influenced by U.S. military practices, block-making machines were distributed to the civilian sector, and related technologies spread through Korean architects trained under U.S. and UN agencies. This shift shaped Korea’s reconstruction architecture, from military barracks to housing projects, and will be compared with similar developments in Taiwan.

Third, the research addresses the heritagization potential of cement factories as symbols of post-war recovery. The Mungyeong Cement Factory, designed by Denmark’s F.L. Smidth and completed with domestic construction firms, served as a cornerstone of Korea’s cement industry until 2018. Its preserved wet-process facilities, technical documents, and equipment illustrate both technology transfer and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domestic collaboration. As such, the factory embodies the industrial and symbolic dimensions of Korea’s recovery era.

By combining literature review, archival analysis, and field investigation,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historical and technological value of cement and its production sites, and to assess their significance as industrial heritage in the broader context of East Asian reconstruction.